탄소중립건축인증(ZCB인증) 홈페이지 리뉴얼 안내
페이지 정보

본문
탄소중립스마트건축센터에서는 탄소중립건축인증(ZCB인증)에 대하여 세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인증 지침 및 인증신청 등을 위하여 ZCB인증 전용 홈페이지를 운영중이며, 이번에 새롭게 리뉴얼되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탄소중립건축인증(ZCB인증) 홈페이지 사이트맵
탄소중립건축인증(ZCB인증) 홈페이지의 메뉴는 [Our Work] [ZCB Certification] [ZCB Application] [ZCB Academy] [Customer Service]로 구성되어있습니다.
*Our Work
탄소중립건축인증의 미션과 연혁, 오시는 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ZCB Certification
① ZCB v1.0 에서는 탄소중립건축인증의 기본적인 개념과 평가방법 및 계산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인증 등급과 결과물(인증서, 인증보고서, 현판)의 샘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② ZCB system 에서는 탄소중립건축인증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체계에 대한 사항으로 탄소중립건축인증 운영기관 및 인증기관의 구성, 인증 및 기술지원의 진행 절차에 대해 상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③ ZCB target 에서는 탄소중립건축인증의 인증대상에 대한 설명과 건축물(Building) 인증·상점(Store) 인증·건설현장(Construction Site) 인증의 세부용도별 인증 획득을 위한 지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증지침은 한글 및 영문 버전으로 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외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탄소중립건축인증 제도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④ZCB tool 에서는 탄소중립건축인증의 정량적이고 일관적인 평가를 위해 운영중인 ZCB인증 전용 툴 BEST(Building zero carbon Evaluating Simulation Tool)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⑤ ZCB fee 에서는 탄소중립건축인증(ZCB인증)의 취득을 위하여 운영기관에 납부하는 인증심사료와 기술지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인증대상 및 연면적에 따라 달라지며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수수료 산정 기준을 따릅니다. 보다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신 경우 탄소중립스마트건축센터로 문의주시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ZCB Application
① Apply ZCB Certification 에서 탄소중립건축인증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규 신청] 버튼을 클릭한 후 신청 정보를 입력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② Apply Low Carbon Tech 에서는 건물부문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새롭게 개발되고 있는 다양한 저탄소 기술에 대하여 정량적인 탄소감축량 평가방법 검토를 통해 탄소중립건축인증(ZCB인증) 내에서 적용하는 저탄소 신기술 인증 신청에 대한 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③ ZCB Project 에서는 탄소중립건축인증(ZCB인증)을 취득한 사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ZCB Academy
탄소중립건축인증(ZCB인증)은 건물부문 전(全) 과정에서의 탄소배출량(Carbon Emitted) 및 탄소 저감·탄소 흡수·탄소 포집·탄소 상쇄에 대한 탄소감축량(Carbon Avoided)을 정량적으로 평가 가능한 전문성이 요구됩니다.
특히, 전 과정(Life Cycle)에서 요구되는 전과정 평가분야, 건축분야, 재료분야, 시공분야, 환경·설비분야, 구조분야 ,에너지분야 등 탄소중립 성능 평가를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식과 전문성이 요구됨에 따라 ZCB인증은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있으며, 추후 ZCB인증 홈페이지에서 일정 등을 공개할 예정입니다.
- 이전글탄소중립건축인증, 한국건물에너지기술원 신규 인증기관 지정 및 MOU 체결 25.01.24
- 다음글탄소중립스마트건축센터, (주)에너지엑스와 업무협약(MOU) 체결 25.01.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